코로나도 조금씩 풀려가고는 있지만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생겨 팬데믹이 다시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스럽기는 합니다. 그래도 또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에어비앤비를 이용하여 숙소를 잡을 때, 결제방식을 카드로 입력하는 데, 우편번호가 뭔지 뭘 입력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카드 우편번호란?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카드를 등록하고 결제할 때, 우편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을 본 적이 없을 겁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빈번히 우편번호를 입력하라는 창들을 보실 건데, 대표적으로 ZIP코드가 바로 우편 번호입니다.
이 우편번호가 필요한 이유는 본인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필요 없는 이유는 본인 확인을 하기 위해, 주민등록증이 있어, 결제를 할 때, 우편번호가 사실상 2중으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에 반면, 주민등록증이 없는 유럽이나 미국 같은 나라들은 본인 확인을 하기 위한 민증 같은 것이 없어서, 각 카드마다 우편번호를 입력하여, 본인 확인을 요구하게 됩니다.
그래서 만일 내가 결제를 하지 않았는 데, 누가 카드를 훔쳐서 입력하는 경우, 해당 주소지로 발송이 되며, 사고를 좀 더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우편번호가 필요한 것입니다.
즉, 쉽게 말해 본인 인증 절차를 해외에서는 우편번호로 입력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편번호 란에 뭘 적어야 하는 지?
그렇다면 우편번호 란에 무엇을 적어야 하는지 난감하실 텐데, 간단히 본인이 카드를 발급받을 때, 명세서의 받는 위치(명세서를 받지 않는 경우, 카드 등록 시 주소)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에서 명세서를 받는 다고 한다면, 네이버에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03048이라는 우편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비앤비 카드 결제 오류 해결 방법 (0) | 2022.06.23 |
---|---|
부산 영도 자전거 택시 여행 (부바커 여행) (0) | 2022.02.06 |
캐나다 이민 CEC(Canadian Experience Class) 자격 요건 (0) | 2022.02.04 |
캐나다 이민 FST(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자격 요건 (0) | 2022.02.04 |
캐나다 이민 FSW(Federal Skilled Worker) 자격 요건 (0) | 2022.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