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컴퓨터, PC45

멤브레인 펜타그래프 차이 키보드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나에게 정리할 시간을 줄 겸 오늘은 내가 궁금해서 찾아본 멤브레인과 펜타그래프의 차이 그리고 장점과 단점의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멤브레인 멤브레인은 위 사진과 같이 키캡을 빼보면, 고무가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 모든 멤브레인의 방식은 이와 같이, 저 고무를 누르는 데, 고무 자체가 전기적인 신호를 받는 기판까지 닿아야 인식을 하고, 입력을 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쉽게 말해, 옛날 스마트폰으로 비유를 하자면, 정전식이 아닌 감압식이라 생각하면 되는 데, 정전식은 굉장히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을 보이지만, 감압식은 손가락에 힘을 줘서 전기적 신호를 받는 기판까지 닿아야 하는 과정이 필요해, 조금은 불편하고, 어색한 움직임이 보이 듯, 멤브레인 방식 또한.. 2022. 4. 9.
키보드의 종류와 특징 요즘에는 정말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키보드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키보드의 여러 가지 종류와 특징들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멤브레인 방식 멤브레인 방식의 키보드는 주로 공용 사무실? 에서 가장 많이 보는 키보드 방식입니다. 왜냐하면 매우 저렴한 위치에 있는 키보드이거든요. 멤브레인 방식의 작동 방식을 설명드리자면, 손가락으로 키캡을 눌렀을 때, 러버돔(고무)이 찌그러지면서 눌러져 멤브레인(전기가 통하는 기판)에 터치가 되면, 인식·입력되는 방식입니다. 멤브레인 방식의 장점은 구성 자체가 일체형으로 키캡, 러버돔, 멤브레인, 쇠 판으로 생산 단가가 저렴하며, 러버돔 자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밖에 가벼운 무게와 소음이 굉장히 .. 2022. 4. 9.
802.11ax가 뭔가요 문득 궁금해진 것이 있는데, 그게 뭐냐면, 와이파이 공유기를 살 때, 어떤 것은 5G라고 되어있고, 어떤 것은 wifi 6라고 되어있으며, 또 어떤 것은 802.11ax, ac 등등 여러 알 수 없는 숫자와 기호들이 있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보면 뭐가 속도가 빠르고 좋은 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802.11ax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802.11ax = WIFI 6 제목 그대로 802.11ax는 WIFI 6을 나타냅니다. 좀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자면, 802.11을 프로토콜(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이라고 부르며, 그 뒤에 붙는 영어 ax는 간단히 프로토콜의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느린 버전부터 빠른 버전까지 알려드리자면,.. 2022. 4. 8.
PC로 와이파이 잡기 노트북을 구매하게 되면, 크게 손볼 것이 없습니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윈도우 설치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죠.(저렴한 것은 윈도우 미설치 또한 있지만) 하지만 PC를 사게 된다면, 특히 조립용 pc를 산다면, 설치 및 설정해야 할게 조금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PC로 와이파이 잡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와이파이 설치 방법 두 가지 노트북은 와이파이 랜카드가 메인보드에 설치가 되어 있지만, pc는 직접 설치하셔야 하는 데, 방법으론 메인보드에 직접 꽂는 랜카드 방식과 와이파이 수신기를 USB선에 연결하여 무선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편한 방식을 구매하면 되는 데, 일반적으로 수신기에 USB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저 또한 이.. 2022. 4. 8.
반응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