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PC 조립 시 자주 사용할 수 있고, 손쉬운 조립으로 인해, NVMe ssd를 설치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용량이 필요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쌀 경우, 그리고 NVMe 만큼의 속력도 충분히 빠른 데 HDD를 끼워 넣기는 애매한 분들은 현재까지도 sata ssd를 추가 설치하고는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보자 분들도 알기 쉽게 sata ssd 설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ATA SSD 설치 전 필자의 사용 모델
저는 다음과 같은 모델을 사용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SATA SSD : SK 하이닉스 500GB
- 케이스 : 마이크로닉스 메쉬 PC 케이스 미들타워 블랙 Master M60
- 메인보드 : MSI PRO H610-B DDR$
해당 모델이 아니더라도 SATA SSD의 설치는 간단합니다. 케이스의 제원에 따라 SSD의 설치 위치와 메인보드의 SATA선 연결 위치는 조금은 다르지만, 케이스를 열어보면 대충 어디쯤 SATA SSD가 위치해야 하고, SATA SSD 선은 꽂을 수 있는 곳이 특이하기 때문에 어디에 꽂아야 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SATA SSD 설치 방법
모든 SATA SSD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총 두 개의 선을 연결해야 하는 데, 왼쪽에 긴 단자(파란색)는 기존 파워서플라이에 연결되어 있는 선과 연결하면 되고, 오른쪽 짧은 단자는 메인보드와 연결하기 위한 선입니다.
다시 말해 왼쪽은 전원부 연결선, 오른쪽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SATA SSD선은 보통 메인보드에 동봉되어 있으나, 혹시 없으신 분들은 사셔야 합니다.
※SATA 케이블 선 자체를 보여드리려 했지만 사진을 실수로 못 찍어서, 메인보드에 연결한 선으로 대체한 점 참고 바랍니다.
주의 사항
전원 연결부는 그냥 꽂으면 되는 데, 데이터를 주고받는 연결선 같은 경우, 메인보드에서 어디를 꽂아야 되는지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메인보드에 SATA 5, 6, 7, 8만 있는 데 그러면 1번에서 4번까지는 없냐? 하실 수도 있지만, 당연하게도 없습니다. 저도 이런 경우에는 그냥 보이는 숫자 중 가장 낮은 숫자에다 연결하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시면 ↓5, ↑6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밑에 단자가 숫자 5번임을 아실 수 있습니다. 헷갈리시면 위의 사진 참조하시면 됩니다.)
'IT > 컴퓨터,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사제 쿨러 교체 방법 (0) | 2022.03.26 |
---|---|
인텔 기본 쿨러 탈착 방법 (0) | 2022.03.26 |
jfp1 연결 (0) | 2022.03.23 |
SSD 추가 설치 후 인식시키는 방법 (0) | 2022.03.12 |
메인보드와 케이스 스위치 선 연결 방법 (0) | 2022.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