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캐나다 이민 방법 간단 정리

by ◑◐♡ 2022. 2. 2.

캐나다 이민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고, 그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복잡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상세한 내용은 배제하고, 간단하게 이민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캐나다 여권 사진
캐나다

 

 

캐나다에서 체류 방법

캐나다에서 오랫동안 체류를 하기 위해선 여러 가지 비자(워킹비자, 학생비자 등) 중 하나라도 있어야 됩니다.

하지만 이런 비자 없이 오랫동안 지내려면 영주권이나 시민권이 필요하지요.

영주권과 시민권의 단 한 가지의 차이는

국적을 유지하며 캐나다에 무기한 체류할 수 있지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영주권

국적을 포기하고 캐나다의 시민이 되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시민권입니다.

그래서 우선 받아야 할 것은 영주권이며, 시민권의 자격조건은 영주권자를 소지한 채 3년을 캐나다에서 지내야 하고, 시민권 시험을 통과해야만 합니다.

 

영주권 발급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 (2/3)

영주권 신청 방법은 간단합니다. 순서 상 영주권 신청 > 서류 검사 > 결과로 됩니다.

하지만 영주권을 얻기 위해선 신청 자격부터 먼저 해당돼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청 자격 요건은

유학 후 이민(실제 영주권 발급을 위한 조건은 아니지만 이렇게라도 가는 사람들이 해당됨), 취업 이민(=주정부 이민 PNP : Province Nominee Program)이 있습니다.

전자는 캐나다 대학 졸업 후, PGWP(Post-Graduation Work Permit)이란 워킹비자를 받고 1년간 근무를 하면 신청이 가능하며

후자는 캐나다에서 일을 한 뒤(주마다 다르지만 보통 6개월 ~ 1), 주정부에 노미니(추천)를 받으면 영주권 신청을 할 각 연방정부(캐나다는 각 주로 구성된 연방국가)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영주권 신청 특별방법(3/3)

하지만 위 두 가지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고학력 고 스펙을 가진 분들은 인터넷을 통해 특별히 빠르게 신청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Express Entry(줄여서 EE)라고 하는 건데, 영주권 신청 후 결과까지 기다리는 기간 또한 6개월 이내로 가장 빠릅니다. 그래서 절차가 쉽고 빠른 만큼 경쟁이 치열합니다.

등록 방법은 “EE 온라인에 프로필 작성 > 대기장에서 대기 > 추첨 > 초대장(ITA) 받기 > 서류 제출 > 결과순이며, EE 또한 등록 시 최소 조건이 있는데, CEC, FSW, FST 중 하나라도 해당이 돼야 합니다.

(세 가지의 자격 요건은 제일 밑에 글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 바랍니다.)

EE온라인 프로필(나이, 학력, 경력 등) 작성을 토대로 점수를 환산하여, 합계를 냅니다. 그 점수 순으로 등수가 매겨지며, EE에서 매달 2번 대기자에서 특정 인원을 뽑아 초대장을 줍니다.

그 후 초대장을 받은 사람들은 증빙서류들을 영주권 신청과 함께 서류심사를 받고 결과까지 기다리면 끝입니다.

 

 

그래서 시간과 비용은?

글로써 설명하는 것보단 아래와 같이 표를 보여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유학 이민 취업이민
=주정부 이민 = PNP
Express Entry
= EE
영주권 신청자격 얻기까지의 시간 학교(최소 2년) + 일(1년)
= 3년
일 (6개월 ~ 1년) 초대장 받는 즉시 신청 가능
영주권 신청서류 처리 시간 EE, PNP 중 선택가능 약 18개월 최대 6개월
영주권 취득까지 걸리는 총 시간 EE(약 3년 6개월)
PNP(약 4년 6개월)
2년 ~ 3년 최대 6개월
비용 2년 학비 + 2년 생활비
약 4 ~ 6천만원 (알바 가능)
초기비용 : 약 천만원
(생활비는 벌어서 충당)
접수비용 약 백만원
은행잔고 증명 시 약 천만원

 

CEC 자격 요건

FST 자격 요건

FSW 자격 요건

 

 

댓글


...
...